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페이스, 이희영 지음, 청소년 문학 소설, 책 리뷰

 
페이스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과 함께하는 〈현대문학 핀 장르〉 시리즈의 세 번째 책 출간! “그동안 다른 소설들에서 만난 적이 없었던 자아에 대한 강력한 비유다” _김지은(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 당대 한국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과 함께하는 〈현대문학 핀 장르〉 시리즈의 세 번째 책, 이희영 작가의 『페이스』가 출간되었다. 월간 『현대문학』 2023년 9월호에 실렸던 동명의 중편소설을 개작한 『페이스』는, 태어나서 단 한 번도 자신의 얼굴을 본 적 없는 인물의 시선을 통해 외양 너머 보이지 않는 자아의 세계를 그려낸 작품이다.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인『페인트』로 40만 명에 이르는 독자들의 호응을 끌어내며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바 있는 이희영 작가가, 이번에는 ‘얼굴’로 표상되는 자기 인식의 통로를 과감히 지워버리는 상상을 전개함으로써 “자의식의 미결정 상태에 도전”(김지은)한 것이다. “거울을 똑바로 마주 볼 것. 흐리거나 맑은 날씨처럼 매일이 다른 우리이므로” ‘나’라는 존재는 단 한 순간도 같은 모습일 수 없다는 진실 자아를 찾아야 한다는 강박이 만연한 오늘날의 사회에서, 『페이스』는 과연 우리가 스스로를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타인과 끊임없이 비교하며 “핀셋 같은 시선과 기준”(83쪽)으로 엄격하게 자신을 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일시적인 흉터를 가리고 지우는 데 급급한 나머지 꼭 직면해야 할 마음속 상처를 정작 외면해온 것은 아닌지. 『페이스』의 주인공 인시울이 생전 처음으로 자신의 ‘진짜 얼굴’을 일부분이나마 마주하게 되는 계기가 다름 아닌 ‘흉터’였다는 사실을 통해 마음속 상처와 아픔이야말로 한 존재의 자아를 이루는 중요한 부분임을 시사한다.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 평론가가 “상처 자국을 통해서만 자신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은 그동안 다른 소설들에서 만난 적이 없었던 자아 정체성의 인식에 대한 강력한 비유”라고 말하였듯, “고통의 시간을 지나왔다는 상징”(148쪽)으로서의 흉터를 직면하고 나아가 긍정하는 시울의 모습은 우리가 자아상을 어떻게 구축해야 할지 그 실마리를 보여준다. 무언가를 진심으로 보는 것은 곧 마음을 여는 것이며, “그 너그러운 시선은 제일 먼저 스스로에게 향해야 한다”는 작가의 말과도 상통하는 지점이다. 『페이스』의 또 하나 빛나는 지점은, 자아에의 이해가 타인에 대한 이해와 연대로 확장되어가는 광경까지 그려낸 데 있다. 시울이 직면하는 것은 자신의 흉터뿐만이 아니라 ‘나’라는 존재를 넘어 나를 둘러싼 세상으로 시야를 넓혀가는 시울의 눈에 포착되는 주위 사람들이 감춰온 ‘진짜 얼굴’이다. 매일 거울을 붙들고 살지만 정작 자신의 반짝이는 면을 잘 알지 못하는 라미, 세월의 흐름이 고스란히 새겨진 연로한 얼굴 아래 천진한 표정을 지니고 있는 할머니 최옥분 씨, 그리고 다난한 가정사로 인해 무뚝뚝한 가면을 쓰게 되었으나 마음속 깊이 상처를 간직하고 있는 묵재를 차례로 바라보면서, 시울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직시하고 “거울 너머” 무궁무진하게 변화되는 세상이 있음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결국 『페이스』는 ‘나’라는 존재가 단 한 순간도 같은 모습일 수 없다는 진실을 전하는 소설이자, 그러한 진실을 이 세상 모든 ‘나’들에게 적용해보기를 다정하게 권하는 소설이다.
저자
이희영
출판
현대문학
출판일
2024.03.25

 

 


 

 

페이스, 이희영 작가

 

 

 

줄거리

 

 

 '인시울'은 평범한 고등학생이지만 자기의 얼굴을 볼 수 없다. 안면인식장애도 시각에 이상이 있는 것도 아니다. 시울이가 보는 거울 속 자신의 얼굴은 뿌연 구름이나 모자이크, 여러 가지 블록 조각 때로는 롤리팝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자신의 손 감각만으로 자신의 얼굴을 유추할 뿐이다. 자신의 얼굴을 볼 수 없다는 사실을 가족은 물론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은 채 평범하게 살아가는 인시울. 하지만 시울이는 할머니의 진짜 취향을 그리고 친구 라미의 활짝 웃을 때의 반짝거림을 볼 수 있는 아이다.

 시울이의 같은 반 친구인 라미는 자신의 틀어진 앞니를, 묵재는 아픈 가정사를 가리고 싶어한다. 묵재는 알코올중독자였던 엄마를 사고로 잃고 자신의 아빠도 친아빠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힘들어한다. 묵재의 실수로 시울이의 이마에 상처가 나고, 시울이는 그 상처의 흉터는 볼 수 있게 된다. 이 사건으로 묵재는 자신의 이야기를 시울이에게 털어놓으면서 상처를 치유받는다.

 

 

페이스, 이희영 지음

 

 

기록하고 싶은 문장

 

 

p67

그 가능성의 빛을, 넘어지면 툭툭 털고 일어날 힘을, 정작 본인은 제대로 볼 수 없다. 지난 후에야 비로소 볼 수 있는 것들이 참 많다.

 

p82

고여 있던 묵직한 한숨이 단전에서 터져 나온다. 하지만 라미의 탁만은 아니다. 다들 자신의 빛을 못 본 채 살아가니까. 신이 인간에게 심술궂은 이유가 바로 이 점이다. 소중한 것을 잃어버린 후에야 그 가치를 깨닫게 하니까. 

 

p98

하루하루 살아간다는 건, 어쩌면 생각보다 훨씬 더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p190

시울이가 제 얼굴을 볼 수 없듯, 손의 감각만으로 간신히 유추하듯, 인간은 모두 삶의 불확실성을 지닌 채 하루하루 살아간다.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두려움이겠지만, 또 다른 이에게는 기대가 될 수 있다. 시각이 아닌, 마음의 시선에 따라 인생은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나는 내가 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잊지 않으려 한다. 할머니를 보는 시울이의 아름다운 시선과 흉터를 제 것으로 받아들이는 굳건함이 필요한 세상이다.

 

 

 

느낀 점

 

페이스, 이희영 지음

 

 

이희영 작가는 <페인트>, <테스터>, <나나>, <소금아이> 등 많은 청소년소설을 썼고, 베스트셀러에 오른 작품이 많다. 이 책 <페이스>도 추천받아서 읽었는데 자신의 얼굴이 보이지 않는다라는 설정이 특이해서 굉장히 재미있게 읽었다. 자신의 얼굴을 보지 못하지만 남들이 자신에게서 보지 못하는 반짝이는 것들을 볼 수 있는 시울이. 자신의 얼굴을 보지 못하는 것과 자신의 가능성의 빛을 보지 못하는 것 그리고 넘어지면 툭툭 털고 일어날 힘을 보지 못하는 것. 어느 것이 더 슬프고 불편한 것일까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지금 이 순간의 작은 얼룩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나머지 그림들에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